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운사, 건강운동관리사 10년간 합격률 통계(응시 인원, 필기 합격률, 실기 합격률)

by 저스트아가파오 2025. 11. 7.
반응형
SMALL

건운사

건강운동관리사라는 체육 업계에 있는 사람이라면 다들 아는 최고의 자격증이죠.

의사와 한의사의 의뢰를 받아서, 환자들을 직접적으로 케어할 수 있는 자격증.

즉, 의료인과 협업해서 환자들에게 운동을 지도하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격증은 대한민국에서 건운사가 유일하죠.

 

그런 만큼, 이 건운사의 합격 난이도도 말이 안되게 높게 형성되어 있죠.

스포츠 의학을 4년간 전공한 대학생들부터 응시할 수 있는 자격증.

연 평균 합격률은 14%에 그칠 정도로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하는 자격증.

심지어 석사 학위까지 취득한 사람들도 10명 중에 5명은 떨어진다는 미친 자격증.

 

이 자격증의 합격률을 지난 10년간 데이터화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이 합격률의 자료는 스포츠지도자 연수원에서 발표한 공식자료를 일일이 찾아서 기입해서 만들었으니, 참고자료로 꽤 쓸만하실 거에요. 그리고 혹시라도, 건운사에 응시하셔서 떨어지신 분들은 다시 한 번 자신이 어려운 시험에 도전을 했고, 그만한 가치가 있었다는 것에 자부심을 가지시길 바래요.

(솔직히 기사시험보다 합격률이 낮다는 건,,,,, 말이 안되죠,,,)

 

10년간 응시 인원 15,728명.[2024~2015]

건강운동관리사라는 자격증은 생활체육지도자 1급 자격증이 개편되면서 실행되었어요.

2014년부터 개편을 해서 2015년부터 개정된 방식으로 첫 시험이 시행되었으니, 딱 10년 되었네요.

 

지난 10년간 데이터를 바탕으로 찾아보니 15,728명이 응시를 했더라구요. 연 평균 1573명 정도의 응시자들이 있었다는 것이죠.

코로나 시기에도 시험은 열렸었구요, 그 때에도 1400명 이상이 응시를 했었네요.

 

그리고 가장 많은 응시자들이 있었던 2021년에는 1,842명이 응시를 했었네요.

이 때에는 코로나로 인해 시험을 응시하지 못했던 인원들도 많이 몰렸던 시기였어요. 

아무래도 1년에 딱 한 번 밖에 시행되지 않는 시험이라서 응시자의 밀집도가 많을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필기 합격률, 10년간 18.35% [2024~2015]

 

보통 국가에서 실행하는 기사자격증들의 적정 합격 난이도가 20~30%정도로 셋팅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하지만, 건운사의 필기 시험은 평균 적으로 18% 정도로 형성되어 있어요.

 

가장 합격률이 높았던 적이 2회차 시험이었던 2016년에 31.24%였구요, 가장 최근은 2023년의 30.08%.

필기 시험의 합격률이 30%를 넘었던 적은 단 2번 밖에 없을 정도로, 난이도가 높게 형성되어 있죠.

 

그중 최악의 합격률이었던 3개의 년도.

- 합격률 3.04%였던 2018년,

- 합격률 6.24%였던 2017년.

- 합격률 9.98%였던 2024년.

 

제가 건운사를 2번 떨어졌는데요, 저는 2017년과 2018년에 걸쳐 2번 떨어졌어요.ㅠㅠ

그 때, 시험장에서 멘붕왔었는데,,,,

 

 2015년부터 2024년까지의 총 합격률로 보게 되면 아래와 같아요.

- 총 응시자는 15,728명

- 필기 합격자는 2,886명

- 누적 합격률 18.35%

 

 

 

실기 합격률, 10년간 약 60% VS 실제 합격률 10년간 14.11%

건운사는 필기 시험에서 합격한 사람만 실기 시험에 응시할 수 있어요.

기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은 실기 시험장에 들어갈 수조차 없도록 시험이 설계된 것이죠.

 

그래서, 건운사의 실기 합격률에는 함정이 있어요.

많은 분들이 건운사 실기 시험은 쉬운거 아니야? 라고 하거든요.

왜냐하면 평균 합격률이 60%이니까요.

 

하지만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연 평균 누적 합격률 18%로 셋팅된 시험에서 합격한 사람들이 40%는 떨어지는 시험이라는거에요.

즉, 전체 n수로 대입을 하게 되면 값은 달라진다는 거죠.

 

10년간 2,886명이 필기 시험을 합격했어요. 근데, 10년간 실기 시험에 응시한 사람의 수는 그보다 많은 3,720명이에요

어떻게 필기 시험 합격자보다 실기 응시자의 수가 더 많을 수 있냐면, 실기 시험은 필기시험을 친 연도부터 2개년까지 재응시를 할 수 있어요.

 

이 말을 쉽게 풀어드릴게요.

예) 2019년에 필기시험 합격 -> 2019년 실기 시험 불합격 -> 2020년에 실기 시험 재응시 가능.

 

실기 시험의 방식이 이렇게 형성되어 있다보니까, 10년간 2,886명이 필기를 합격했지만, 실기 응시자는 그보다 약 40%정도 많은 3,720명이 응시를 할 수 있었던거에요. 즉, 실기 시험을 2번 본 사람도 있다는 것이죠.

 

그래서 실기 합격률을 2가지 관점에서 봐야 합니다.

실기 시험에 응시한 사람들만을 토대로 한 59.68%의 합격률.

필기 시험에 응시한 사람들부터 적용한 14.11%의 합격률

 

 

지난 10년간 실기 응시자 수는 3,720명, 합격자는 2,220명 -> 59.68%

지난 10년간 필기 응시자 수는 15,728명, 합격자는 2,220명 -> 14.11%

 

 

자격증 취득자의 통계를 보니, 정말 말이 안되는 난이도를 가지고 있더라구요;;;

건운사를 응시하시는 분들은 이 점을 참고하시고, 절대 낙담하시거나 자책하시지 않길 바래요.

 

여러분들은 한 분야에서 최고라고 불릴만큼의 어려운 난이도를 가진 자격증에 응시하는 것이니까요.

 

 

 

건운사, 건강운동관리사 취득현황

 

반응형
LIST